"배우자 진료에 함께 가고 싶은데... 회사에서 눈치 보이지 않나요?"
사실, 그런 눈치 안 봐도 됩니다. 임신검진 동행휴가는 정부도 권장하는 제도니까요.
유급일 수도 있고, 공무원도 쓸 수 있고, 심지어 연차랑은 전혀 다른 별도 휴가인 경우도 있어요. 잘만 알면, 놓치지 않고 누릴 수 있어요.
"신청해도 될까?" 고민만 하다 지나치지 말고,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세요. 🌱
왜 ‘동행휴가’가 필요한 걸까요?



임신은 두 사람의 일이죠. 하지만 현실에선 아직도 대부분 여성에게만 책임이 지워지고 있어요.
그래서 고용노동부가 만든 제도가 바로 ‘배우자 진료 동행휴가’. 임산부의 검진 일정에 함께 동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족친화 정책입니다.
단 하루라도, 함께하는 그 시간이 서로에게 큰 힘이 되니까요.
누가, 언제,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 대상: 임신한 배우자가 있는 남성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가능해요
✔ 시기: 임신 기간 중 1회, 진료일에 맞춰 신청 가능
✔ 방법: 병원 진료 일정 확인 → 신청서 작성 → 인사팀 제출 → 증빙 자료 첨부
✔ 증빙: 병원 예약 문자, 진료확인서 등이 필요할 수 있어요.
동행휴가,꼭 챙겨야 할 포인트는?



💡항목 | 📌주의사항 |
---|---|
증빙자료 | 검진확인서, 병원 예약 문자 등 요청 가능 |
사용 시기 | 출산 후는 불가. 반드시 출산 전 검진일에 사용 |
중복 가능 | 출산휴가, 육아휴직과 중복 사용 가능해요! |
Q&A



Q1. 그냥 쉬고 싶은데... 병원 안 가면 안 되나요?
A. 안 돼요! 이 휴가는 실제로 병원 진료에 ‘동행’하는 게 전제입니다. 증빙자료도 요청될 수 있어요.
Q2. 출산휴가랑 같이 쓸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제도상 서로 다른 휴가라서 동시 사용도 가능해요. 단, 동행휴가는 반드시 출산 전에 사용해야 해요.
Q3. 당일에 급하게 신청해도 되나요?
A. 가능은 하지만 비추천! 최소 1~2일 전에는 신청해야 내부 결재 절차에 문제 없어요.
Q4. 회사가 연차로만 처리하겠대요...
A. 법적 유급휴가는 아니니 강제할 수는 없지만, 가족친화인증기업이면 유급으로 인정되는 사례도 있어요. 인사팀 확인 필수!
Q5. 공무원도 해당되나요?
A. 네! 공무원 복무지침에도 ‘임산부 진료 동행 특별휴가’가 포함되어 있어요. 대부분 유급입니다.